본문 바로가기
Balanced CSR & ESG

CSV는 기업사회공헌의 Next Step이 아닙니다.

by Mr Yoo 2014. 5. 29.

 

 

CSV는 기업사회공헌의 Next Step이 아닙니다.

 

** 주의 : 오늘은 포스팅이 꽤 깁니다. 중간에 영어도 있습니다.

 

기업사회공헌이 CSV때문에 몸살을 앓고 있습니다.

2013년 하반기 부터 최근까지.. CSV 때문에 기업사회공헌이 몸살을 앓고 있습니다. 심지어 일부 대기업들은 기존의 사회공헌팀의 이름을 CSV팀으로 개명(만)까지 해가면서, CSV가 마치 최근 몇년간 정체상태인 대기업사회공헌활동을 구해 줄 구세주라도 되는 것 처럼 나팔(언론사를 동원해서 과대광고, 과대포장)을 불고 있습니다. 본 블로그에서 CSV에 대해 이미 여러차례 언급을 했고, 그로 인해 어떤 기업으로 부터는 항의전화와 이메일을 받기도 했습니다.... 그리고..  오늘 다시 CSV에 대한 블로그글을 쓰는 이유는, 얼마전 아래와 같은 이메일을 받았기 때문입니다. 

 

--------------------------------------------------------------------------

 

안녕하세요? 유승권 국장님..

 

최근 SPC그룹이 시행하는 CSV활동(영천사과농가 후원, 행복한 베이커리 등)을 보며 깊은 관심과 감명을 받았습니다. 진정한 상생과 협력을 SPC라는 생각으로, 최근에는 제가 속한 경제스터디에서도 SPC의 CSV에 대해 목에 핏줄이 서도록 강조하기도 했네요^^;

 

CSV에 대한 저보다 전문가이시기에, 서두는 생략하고 바로 본론으로 들어가도록 하겠습니다.

 

아래는 저희가 질문드릴 몇가지 입니다.

  

저희는 OO대학교 OO과 수업 中 'OO세미나'의 수업에서 '기업의 새로운 사회공헌방법, CSV' 대해 발표하려고 합니다..

 

1. 기업이 CSV를 왜 실시하고 있을까요?

    (구글링해서 검색할 수 있는 이야기 말구, 현직자로써 느낀부분을 말씀해주셨으면 좋겠습니다.)

 

2. CSR과 CSV의 명확한 차이점과 공통점은 어떠한 것이 있을까요?

 

3. 우리나라는 선진국을 비롯한 다른나라에 비해 CSV가 어느정도 발달되어 있다고 생각하세요?

 

4. 그렇다면 우리나라가 가지고 있는 CSV의 한계점은 어떠한 것이 있을까요?

 

5. 국내 기업의 자발적인 CSV를 유도하기 위한 방법은 어떠한 것이 있을까요?

 

6. CSV를 바라보는 대학생들에게 해주고 싶은 말이 있으실까요?

  

생각하다보니 질문이 다소 많다고 느껴지네요..

부디 부담가지 않는 선에서 답변해주셨으면 좋겠습니다.ㅎㅎㅎ

좋은하루되세요. 감사합니다!

  

--------------------------------------------------------------------------------------------

 

일단 이 메일에 답을 드리기 전에, CSV이란 말을 이슈화시킨 하버드경영대학의 마이클포터교수의 2011년 1월 하버드비즈니스리뷰 CSV 아티클 요약본을 소개합니다. 원문은 링크(☞클릭)로 가셔서 PDF 다운받을 수 있습니다.  

 

Creating Shared Value

The capitalist system is under siege. In recent years business has been criticized as a major cause of social, environmental, and economic problems. Companies are widely perceived to be prospering at the expense of the broader community.

 

Even worse, the more business has begun to embrace corporate responsibility, the more it has been blamed for society’s failures. The legitimacy of business has fallen to levels not seen in recent history. This diminished trust in business leads political leaders to set policies that undermine competitiveness and sap economic growth. Business is caught in a vicious circle.

 

A big part of the problem lies with companies themselves, which remain trapped in an outdated approach to value creation that has emerged over the past few decades. They continue to view value creation narrowly, optimizing short-term financial performance in a bubble while missing the most important customer needs and ignoring the broader influences that determine their longer-term success. How else could companies overlook the well-being of their customers, the depletion of natural resources vital to their businesses, the viability of key suppliers, or the economic distress of the communities in which they produce and sell? How else could companies think that simply shifting activities to locations with ever lower wages was a sustainable “solution” to competitive challenges? Government and civil society have often exacerbated the problem by attempting to address social weaknesses at the expense of business. The presumed trade-offs between economic efficiency and social progress have been institutionalized in decades of policy choices.

 

Companies must take the lead in bringing business and society back together. The recognition is there among sophisticated business and thought leaders, and promising elements of a new model are emerging. Yet we still lack an overall framework for guiding these efforts, and most companies remain stuck in a “social responsibility” mind-set in which societal issues are at the periphery, not the core.

 

The solution lies in the principle of shared value, which involves creating economic value in a way that also creates value for society by addressing its needs and challenges. Businesses must reconnect company success with social progress. Shared value is not social responsibility, philanthropy, or even sustainability, but a new way to achieve economic success. It is not on the margin of what companies do but at the center. We believe that it can give rise to the next major transformation of business thinking.

 

A growing number of companies known for their hard-nosed approach to business—such as GE, Google, IBM, Intel, Johnson & Johnson, Nestlé, Unilever, and Wal-Mart—have already embarked on important efforts to create shared value by reconceiving the intersection between society and corporate performance. Yet our recognition of the transformative power of shared value is still in its genesis. Realizing it will require leaders and managers to develop new skills and knowledge—such as a far deeper appreciation of societal needs, a greater understanding of the true bases of company productivity, and the ability to collaborate across profit/nonprofit boundaries. And government must learn how to regulate in ways that enable shared value rather than work against it.

 

Capitalism is an unparalleled vehicle for meeting human needs, improving efficiency, creating jobs, and building wealth. But a narrow conception of capitalism has prevented business from harnessing its full potential to meet society’s broader challenges. The opportunities have been there all along but have been overlooked. Businesses acting as businesses, not as charitable donors, are the most powerful force for addressing the pressing issues we face. The moment for a new conception of capitalism is now; society’s needs are large and growing, while customers, employees, and a new generation of young people are asking business to step up.

 

The purpose of the corporation must be redefined as creating shared value, not just profit per se. This will drive the next wave of innovation and productivity growth in the global economy. It will also reshape capitalism and its relationship to society. Perhaps most important of all, learning how to create shared value is our best chance to legitimize business again.

 

Business and society have been pitted against each other for too long. That is in part because economists have legitimized the idea that to provide societal benefits, companies must temper their economic success. In neoclassical thinking, a requirement for social improvement—such as safety or hiring the disabled—imposes a constraint on the corporation. Adding a constraint to a firm that is already maximizing profits, says the theory, will inevitably raise costs and reduce those profits

 

A related concept, with the same conclusion, is the notion of externalities. Externalities arise when firms create social costs that they do not have to bear, such as pollution. Thus, society must impose taxes, regulations, and penalties so that firms “internalize” these externalities—a belief influencing many government policy decisions

 

This perspective has also shaped the strategies of firms themselves, which have largely excluded social and environmental considerations from their economic thinking. Firms have taken the broader context in which they do business as a given and resisted regulatory standards as invariably contrary to their interests. Solving social problems has been ceded to governments and to NGOs. Corporate responsibility programs—a reaction to external pressure—have emerged largely to improve firms’ reputations and are treated as a necessary expense. Anything more is seen by many as an irresponsible use of shareholders’ money. Governments, for their part, have often regulated in a way that makes shared value more difficult to achieve. Implicitly, each side has assumed that the other is an obstacle to pursuing its goals and acted accordingly.

 

The concept of shared value, in contrast, recognizes that societal needs, not just conventional economic needs, define markets. It also recognizes that social harms or weaknesses frequently create internal costs for firms—such as wasted energy or raw materials, costly accidents, and the need for remedial training to compensate for inadequacies in education. And addressing societal harms and constraints does not necessarily raise costs for firms, because they can innovate through using new technologies, operating methods, and management approaches—and as a result, increase their productivity and expand their markets.

 

 

MBA 학생이 아닌이상 원문전체까지는 다 읽어볼 필요는 없을 것 같구요... 저처럼 영어가 짧은 분들을 위해 영어잘하는 아름다운 재단 장윤주 간사님(간사님 고맙습니다. 나중에 밥한번 살께요^^)의 원문번역 요약본을 소개해봅니다. 원래 페이지는 여기 ☞클릭

 

------------------------------------------------------------------

 

최근 몇 년 동안 기업은 사회적, 환경적, 경제적 문제의 주요한 원인으로 지목되면서 지역사회의의 비용을 증가시킨다는 시선을 받고 있다. 게다가 기업이 사회적책임을 받아 안을수록 사회적 문제의 책임자로 더 많은 비난을 받았으며, 기업의 정당성은 땅에 떨어져 실추된 기업 신뢰는 정책자들이 기업 경쟁력을 약화시키고 경제성장을 둔화하는 정책을 쓰도록 만들고 있다. 기업은 악순환의 덫에 잡혔다.


문제의 원인은 기업 자체에게 있는데, 몇 십년 동안 기업들은 '가치 창출'이라는 것을 단기 재무성과로 바라보면서 장기적인 성공을 결정하는 더 넓은 영향력들을 무시했기 때문이다. 기업들이 어떻게 소비자의 웰빙, 자원의 고갈, 공급자들의 번영이나 지역의 경기침체를 간과할 수 가 있을까?  경쟁우위를 얻겠다고 임금이 싼 지역으로 옮겨가는 것을 어떻게 '지속가능한' 해결책이라고 할 수 있겠는가? 정부와 시민사회가 사회적 문제를 기업의 비용으로 간주했기 때문에 이 문제는 더 가속화 되어왔다. 경제 효율과 사회진보는 상충관계라는 전제가 정책결정에서 제도화 되어버렸다.


기업은 다시 사업과 사회를 함께 견인해가야 한다. 현명하고 생각있는 기업들 사이에 새로운 모델이 제시되고 있지만, 여전히 많은 기업들은 "사회적 책임"에 꽉 끼어 사회적 이슈를 중심이 아니라 변방에 위치시키고 있다.


해결책은 사회적 가치와 경제적가치를 동시에 창출하는 공유가치의 원칙에 있다. 기업활동은 기업 성공과 사회 진보를 재연결해야 한다. 공유가치는 사회적책임도, 자선도 지속가능성도 아닌, 경제적 성공을 위한 새로운 방식이다.


자본주의라는 것은 인간의 욕구 충족, 효율성 증대, 일자리와 부의 창출을 위한 비할데 없는 수단이다. 하지만 좁은 의미의 자본주의는 사회의 넓은 범위를 충족시킬 수 있는 가능성에 재갈을 물려버렸다. 기업활동을 기부의 기부 방식이 아닌 기업의 방식으로 하는 것이 직면한 이슈를 해결하는 가장 강력한 힘이다.  기업의 목적은 이윤그자체가 아니라 공유가치 창출로 재정의 되어야 한다. 공유가치는 글로벌 경제의 혁신과 성장의 새로운 흐름을 견인하게 될 것이다.


기업활동과 사회는 오랫동안 대립관계였다. 신고전학파에 따르면, 안전이나 고용문제와 같은 사회변화는 기업의 비용을 수반한다. 이론에 의하면, 이익이 최적화된 기업을 통제하면 비용을 상승시켜 결국 이윤을 감소시킨다. 비슷한 개념으로 외부효과를 기업이 내부화하게되는데 예를 들어, 기업이 배출한 공해에 대한 규제나 세금을 부과하는 것을 들수 있다. 기업은 정부나 NGO에서 사회문제 해결을 양도받게 되었고 CSR 프로그램은 광범위하게 기업을 규제함과 동시에 비용을 증가시키게 되었다. 기업은 주주로 부터 쓸데없는 돈을 쓴다는 비난을 받고 정부는 공유가치를 획득하기 더 어려워졌다.


공유가치는 기업이 만든 가치를 '나누는' 것이 아니다. 경제적, 사회적 가치의 전체 풀을 확장하는 것이다. 공정무역을 예로 들어보자. 가난한 농부에게 적절한 가격을 주어서 부를 증가시킨다면 이는 단순히 재유통이다. 대신 공유가치 관점에서 본다면  농부들의 생산성, 품질, 지속가능성을 위해 공급자에게 기술과 클러스터를 제공하는데 중심을 둔다. 이를통해 자본의 파이를 키우고 농부와 구매하는 기업의 파이를 키우게 되는 것이다. 한 사례로, 페어트레이드를 지원했을 때 수입이 10%에서 20%로 증가했으나 공유가치 투자를 했을때는 300%이상의 수입이 증가했다.

 

어떻게 공유가치를 창출할 수 있나?  - 공유가치는 자본주의 경계를 재설정 하는 것


1. 제품과 시장 재정의 - 사회문제 해결과 동시에 기업의 이윤창출


기업이 사회적 요구에 부합하는 제품과 서비스를 제공하는 다양한 방법이 있다. 예를 들어, 기업이 건강프로그램에 투자한다면, 근로자와 가족이 건강을 영유하는 사회적 이득이 있을 것이고, 기업은 직원의 결근을 감소시켜 생산성을 높일 수 있다. 웰 파르고 Well Fargo는 예산수립, 신용관리, 부채 절감 프로그램과 상품을 개발했다. GE의 에코매지네이션(세계 최초의 하이브리드 기관차, 고효율 조명기기인 발광다이오드(LED), 친환경 고효율 홈빌더 프로그램 등이 대표 상품이다-역주 출처:네이버)은 2009년 180억 달러 매출을 기록했다.


개발도상국을 대상으로 한  BOP(Bottom Of Pyramid) 에 따르면 수십만 명의 신규 고객 창출이 가능하다. 선진국의 비전통적인 지역에도 비슷한 기회가 있다. 지역의 저소득 소외된 지역에 제공하는 저비용 휴대폰이 그 예가 될 수 있다. 케냐의 보다폰(Vodafone)은 1,000만명에게 모바일 뱅킹 서비스를 제공해, 이를 통해 거래된 금액은 GDP의 11%에 달한다. 톰슨 루터스(Thomson Reuters)는 농부들에게 분기당 5달러의 비용으로 날씨와 작물 가격 정보를 제공했다. 약 200만명의 농부들이 이 서비스를 이용하고 수익의 60%를 향상시킬 수 있었다.

 

2. 가치사슬 내 생산성 재정의  - 에너지와 물류 / 자원 사용 / 조달 / 배송 / 직원 생산성 / 입지


월마트는 포장을 줄이고 트럭 경로를 재설정해 20억달러를 절감할 수 있었고, 처리방법을 혁신해 매닙립 비용또한 절감할 수 있었다.


막스앤스펜서(Marks & Spncer)는 공급사슬을 철저히 점검해 구매와 이동 경로를 최소화시켜 탄소배출을 줄였을 뿐 아니라 1억 7천5백만 파운드를 비용절감이 예상된다.


네슬레는 아프리카와 라틴 아메리카의 열악한 커피농장의 조달방법을 다시 디자인했다. 생산자에게 집중해 농법을 제시하고, 은행 대출을 보증하는가 하면, 종자재고 관리법, 방충, 비료 제공을 도와주었다. 악순환에 빠져있던 농부들은 질좋은 커피를 생산할 수 있게 되었고 직거래를 통해 농부에게 더 많은 이익이 갈 수 있게 되었다.


인도 유니레버는 소외된 여성들에게 마이크로크레딧을 제공해 4,500명의 사업가가 1만개 마을을 커버하고 있다. 샤크티(Shakti) 프로그램은 여성에게 기술을 제공해 수입을 증대시켰을 뿐 아니라 주민들에게 위생상품에 대한 접근성을 높여 질병을 예방할 수 있었다.



3. 지역 클러스터 개발


생산성과 혁신은 실리콘밸리와 같이 관련 산업, 공급자, 서비스 제공자, 물류가 지역적으로 집중되어 있는 "클러스터"에서 영향을 받는다. 클러스터는 기업뿐 아니라 학교와 같은 기관, 무역 협회 등도 포함된다. 이들은 국공립 학교, 깨끗한 수질, 공정한 법, 품질 기준, 그리고 시장 투명성과 같은 넓은 범위의 공공자원을 끌어올 수 있다.


미네랄 비료 제조사인 야라(Yara)는 아프리카 지역에 물류인프라가 부족해 농부들이 적절한 비료를 얻지 못하는 것을 알고는 도로와 항구를 개선하기 위해 6천만 달러를 투자했다. 이 회사는 이를 착수하기 위해 지부와 노르웨이 정부의 지원을 받았다. 모잠비크의 도로만으로 2만명 이상의 소농에게 혜택이 주어지고 3만5천개의 일자리가 창출될 것으로 예상했다. 이는 야라(Yara)의 사업을 성장시켰을 뿐 아니라 농업 클러스터 전체를 지원해 엄청난 영향력을 창출해냈다.


여러 사례에서 보여주듯이, 기업이 지역의 인프라와 시설을 갖추는데 비용을 나누고, 지원을 함께하면서 적정한 기술을 제공하는 파트너를 구할 수 있어야 한다.  기업과 정부, NGO가 함께 하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어떻게 다른가? - 기업의사회적책임(CSR) vs 공유가치창출(CSV)


기업이 지역사회 투자를 견인한다는 면에서 CSV는 CSR을 대체해야 한다. CSR은 거의 기업의 명성에 초점을 두면서 기업활동과 연계가 제한되어 있어 이런 활동들이 정당화하거나 장기적으로 유지되기가 어렵다. 반면 CSV는 기업 수익성과 경쟁 지위와 통합되어 있다. CSV는 기업의 유닉한 자원과 전문성을 이용해 사회적 가치 창출을 통해 경제적 가치를  만들어내도록 지렛대 역할을 한다.

 



기업의 사회적 책임(CSR)


가치 : 좋은일

시민정신, 자선, 지속가능성

자율적, 또는 외부 압력에 대한 반응

이익 극대화와 분리

아젠다가 외부 보고나 개인 선호로 결정됨

임팩트가 회사의 기록이나 CSR 예산으로 제한


사례 : 공정무역상품 구매


공유 가치 창출(CSV)


가치 : 비용과 관련된 사회적, 경제적 이득

기업과 지역사회 합작 가치 창출

경쟁력에 필수

이익 극대화가 필수

아젠다는 기업 특화된 그리고 내부적으로 생성됨

전체 기업 예산 재편성


사례 : 품질과 이익 증대를 위한 조달방법 개선

 

--------------------------------------------------------------------------------------------

 

이상이 마이클 포터가 주장한 CSV에 대한 내용과 아름다운 재단 장윤주간사님의 요약번역이었습니다. 그리고, 제 생각은 이렇습니다.

 

마이클 포터 교수의 CSV에 대한 주장에 전부 동의하지는 않습니다.

다른 부분은 잘 모르겠지만, 기업의 CSR이나 자선활동(우리나라에서 기업사회공헌활동이라고 부르는..)의 가치나 효과를 폄하하고, 기업에게 재정적인 부담을 주고 있기 때문에, '기업의 이미지쇄신을 위해 사회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지 못하고 그 주변만 건드리다 마는 식의 단순한 자선활동보다는 사회적문제자체를 비즈니스대상으로 삼아 비즈니스가치와 사회적가치를 결합하는 것이 가장 진보된 방식이다' 라는 식의 그의 주장을 그대로 인정할 수는 없습니다. 순전히 기업의 재무재표적인 입장에서 보면 기업의 사회공헌활동은 비용으로 기록되고, 기업운영에 부담을 줄 수 있다고 볼 수 있지만, 그로 인해 발생되는 사회적효과는 기업내부에서 보다 기업외부에서  훨씬 크게 느껴집니다.

 

특히나 정부나 지방자치단체에서 사회복지현장에 대한 재정지원이 급속히 줄어들고 있는 우니나라의 현실에서, 기업이 순수한 기부활동(사회공헌활동)이 기업의 이익과 결부된 CSV방식으로 전환된다면, 소규모 민간단체와 사회복지현장이 재정적으로 많이 힘들어지고, 위축될 것으로 봅니다.  마이클포터 교수가 살고 있는 미국의 경우 NGO나 사회복지시설들의 자금원이 대부분 개인기부금이고, 기업의 기부는 일부 보조적인 역할을 하는 것에 비해, 우리나라의 경우 기업기부가 전체기부금의 상당부분 (예를 들면 연간 3천억이상을 모금하는 사회복지 공동모금회의 경우 최근 5년간 기업기부금이 전체 기부금의 70% 이상을 차지)을 차지하고 있기 때문에, 미국에서는 몰라도 한국에서는 CSV로 인해 기업사회공헌이 위축되어서는 안된다고 생각합니다.

 

CSV 코에 걸면 코걸이... 귀에 걸면 귀걸이가 아니다.  

아주 최근에 만난 모기업 CSV실(얼마전까지는 CSR실)의 부장님은 이런 말씀을 하셨습니다. '마이클 포터가 말한 CSV의 원래 주장을 문자그대로 교과서적으로 해석할 필요가 있느냐? 우리나라의 상황에 맞게 적용해야 되지 않겠나.. 기존의 기업사회공헌도 기업의 이미지를 좋게 하는 기업적 가치가 있는 것이니 만큼..  기업사회공헌팀이 CSV로 변화하는 것에 대해서 블로그에서 너무 뭐라고 하지 않았으면 좋겠다' 는 말씀을 하시면, 은근 압력을 넣으셨습니다.

 

저는 부장님의 말씀에 이렇게 대답했습니다. "부장님의 말씀처럼 아주 큰 그림에서 CSV를 이해하고 봐주자고 하신다면....  기업의 경영활동 중에 CSV가 아닌 것이 어디있겠습니까? 대부분의 기업이 기존에 생산하는 제품과 서비스 자체가 이미 소비자의 생활을 가능하게 하고 삶의 질을 개선시키는 데 기여하고 있으니.. 이것도 사회공헌이고 CSV 라고 말할 수 있을 것입니다. 기업이 일자리를 만들고, 지역경제를 활성화 시키고, 국가에 세금이 내니... 이것도 사회공헌이고 CSV라고 말할 수 있을 것입니다." 한숨 한번 쉬고나서... 

 

" 제가 기업사회공헌팀이 CSV팀으로 개명하는 것에 대해 반대하는 이유는, 이런 개념의 확장에 대해 옳고 그름을 말하자는 것이 아닙니다. 기존의 기업사회공헌활동도 제대로 잘 못하고 있는 상황에서, 개념과 적용 범위도 모호한.. 그리고 그것마저 원작자의 주장에 따르는 것이 아니라, 우리 마음대로 확대해석해서 아무데나 적용하는 방식의 CSV를 기업사회공헌팀에서 맡아서 한다고 한다면... 기존 사회공헌도 엉망이 되고, 새로 시작하는 CSV개념이 적용된 활동도 그 효과를 기대하기란 어려울 것 같다는 말씀을 드리는 겁니다."

 

사회공헌팀이나 CSR팀에서 CSV팀으로 개명한 기업들이 하나같이 본인들의 CSV활동을 홍보할 때 '마이클 포터 교수의 CSV'의 개념을 자랑처럼 선전합니다. 그런데.. 실제로 적용된 예를 보면.... 마이클 포터 교수가 주장한 CSV의 개념이 적용된 것이 아니라,  그냥 기존의 사회공헌활동입니다.  어떤 기업은 김장김치행사를, 어떤 기업은 기존에 사회적기업지원사업을, 또 어떤 기업은 임직원 자원봉사활동을 CSV라고 말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우리나라의 CSR이 제대로 된 기업의 사회적책임활동으로 정착하지 못하고, 여전히 10여년째 기업사회공헌활동의 범주를 벋어나지 못하고 있는 이유도.. 애초에 CSR에 대한 올바른 개념정의와 명확한 적용범위를 정하지 못했기 때문입니다. CSV도 CSR의 안타까운 전처를 밟을 조짐이 보입니다.

 

 

이제 보내온 메일에 대한 답을 드릴 시간입니다.

 

일단 '행복한 베이커리&카페' 사업은 CSV라고 말할 수 없습니다. 이건 SPC그룹의 순수한 사회공헌활동입니다. 이 부분에 대해서는 SPC회사 내부에서도 지속적으로 커뮤니케이션을 하고 있고, CSV로 외부에 홍보하자고 하는 의견들을 사회공헌팀에서 막고 있는 상황입니다. 왜냐하면, SPC그룹은 비즈니스 모델 상 행복한 베이커리&카페 사업으로 인해 그 어떤 재정적인 이익을 얻고 있지 않으며, 앞으로도 얻을 생각이 전혀 없습니다. 즉 행복한 베이커리&카페 사업은 CSV의 본질적인 요소인 회사의 이익 극대화에 영향력을 끼치지 않습니다.

 

물론 어떤 분은 행복한 베이커리&카페 사업으로 인해 SPC그룹 홍보도 되고, 기업이미지도 좋아졌기 때문에 회사 이익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쳤다고 말할 수 있지 않는냐 라고 반문할 수 있지만.... 길가는 사람 100명을 붙잡고 물어보십시요... SPC그룹이 하는 행복한 베이커리&카페 사업을 아냐고...  아마도 "SPC 가 뭐예요" 라고 말하는 사람이 대부분일 겁니다. 행복한 베이커리&카페 사업을 아는 사람은 우리나라 5천만명 국민중에 1만명도 채 안될 것입니다. 이게.. 사회공헌사업의 현실입니다. 삼성이 일년에 몇천억의 예산을 들여 사회공헌활동을 해도, 그 활동을 아는 일반 시민은 거의 없습니다. 삼성직원들이나 직원들의 가족들도 잘 모릅니다. 이것이 현실인데... 사회공헌사업이 기업이미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고 유의미하게 평가한다는 것은 지나친 과대평가라고 봅니다.  

 

둘째, 저는 CSV 전문가가 아닙니다. 아직 어떤 부분의 전문가 소리를 들을만한 자격과 실력을 갖춘 사람이 아닙니다. 기업사회공헌과 관련된 블로그를 쓰고 있고, 관련되어 일을하고, 가끔 관련된 강의나 워크숍을 주관하기도 하지만... 그건 어디까지나 실무자로서 일을 더 잘하기 위해 스스로 노력하고 있는 과정일 뿐.... 아직 '전문가' 라는 말을 들을 정도는 아닙니다. 더군다나 CSV는 우리나라에서 전문가 소리를 들을 만한 사람은 아직 없다고 생각됩니다.

 

미국, 영국을 비롯한 해외에서도 CSV에 대한 논란이 아직 정리되지 않은 상태입니다. 얼마전 참석한 2014년 국제 CSR 컨퍼런스에서 '책임의 시대'의 저자 웨인비서박사도 'CSV가 CSR이나 기업의 사회공헌활동을 대체하는 개념은 아닌 것 같다.' 라는 짧은 의견을 말한바 있습니다. 

 

다음은 질문에 대한 답입니다.  

 

1. 기업이 CSV를 왜 실시하고 있을까요?

일단 현재 시점에서 마이클포터가 주장한 CSV 개념에 정확하게 맞추어 CSV를 실천하고 있는 우리나라 기업이 있는지 잘 모르겠습니다. 대신 질문을 좀 바꾸어 '기업이 앞으로 CSV를 경영전략으로 선택해야 하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에 답하는 게 좋을 것 같습니다. 이부분에 대해서는 저도 마이클포터 교수의 주장에 상당부분 동의하고 있는데요... 기업활동을 해야 하는 사회환경이 점점더 나빠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기업은 사회속에서 존재할 수 밖에 없습니다. 

 

기업의 상품과 서비스를 구매해야 하는 소비자가 고령화나 실업, 질병들의 문제로 경제적 상황이 나빠지면 기업은 판매를 할 수 없고, 망할 수 밖에 없습니다. 지구환경의 악화로 인해, 환경이 파괴되어 대기가 오염되고 물이 부족하고, 자원이 고갈되고, 원자재 값이 상승하면 기업은 생산활동에 비용이 많이 소모되어, 제품과 서비스의 가격을  올릴 수 밖에 없고, 제품과 서비스의 가격이 올라가면 판매를 많이 할 수 가 없습니다. 따라서... 기업이 사회적환경, 소비자의 생활환경, 지구환경을 지금보다 개선되는 방향으로 비즈니스 모델을 개선하지 않으면, 기업자체가 앞으로 생존할 수 없게 됩니다. 그러니.. 당연히 사회적문제를 해결하는 동시에, 기업적 이익도 볼 수 있는 CSV 경영전략을 선택하지 않을 수 없습니다. CSV는 마이클포터 교수가 주장하기 이전에 이미 다양한 형태로 기업내에 경영전략으로 채택되어 왔습니다. 절대로 새로운 개념은 아닙니다.

 

2. CSR과 CSV의 명확한 차이점과 공통점은 어떠한 것이 있을까요?        

명확한 차이점은 단어죠... CSV가 마치 CSR과 두 글자가 같다고 해서, 같은 의미가 아닌가 생각하는 영어가 많이 짧은 분들이 계신데... CSR은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의 약자.. 즉 기업이 사회적으로 져야 할 책임을 말하는 것이구요.. CSV는 아직 영어사전에도 등록되지 않은 상태인데... Creating Shared Value 공유가치 창출  입니다. 이것에 대해 쓴 제 블로그 글이 있습니다. 링크 겁니다. ☞ 클릭   그리고 무엇보다, CSR은 기업의 경영원칙과 철학이고, CSV는 경영전략이죠... 경영철학과 경영전략의 차이까지 설명해드리는 건 대학생을 무시하는 것 같아, 여기까지만 말씀드리겠습니다.

 

CSR과 CSV의 공통점을 굳이 찾아야 한다고 한다면, 두가지 모두 기업이 기업의 이익만을 위해 이기적으로 경영활동을 하는 것이 아니라 사회구성원의 일원으로서 사회문제와 환경에 관심을 갖고 경영활동을 펼치는 것 정도로 말씀드리면 될 것 같습니다.


 

3. 우리나라는 선진국을 비롯한 다른나라에 비해 CSV가 어느정도 발달되어 있다고 생각하세요?

일단 다시 말씀드리지만, 아직 우리나라 일반기업계에선 CSV에 대한 개념정리도 제대로 안된 상태이기 때문에, 어느정도 발달 되었다고 말씀드리기 자체가 어렵습니다. 대신 사회적기업 등 사회적문제해결을 위해 설립된 특별한 기업들의 경우에는 CSV가 아니더라도, 이미 많은 부분에서 사회적문제해결을 비즈니스모델로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사회적기업에 대해서는 별도로 공부하시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4. 그렇다면 우리나라가 가지고 있는 CSV의 한계점은 어떠한 것이 있을까요?

앞서 말씀드린 부분을 잘 정리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일단 개념정리가 잘 안되어 있고, 그러다 보니 어디까지 적용해야 할 지 범위도 모호한 상태이죠... 한계점이라고 말하기도 어려운 상태입니다. 일반 영리기업들이 CSV를 제대로 알고, 그것을 사회공헌차원이 아니라 기업전체의 경영전략으로 적용시키고 그것의 성과가 어느정도 나온 상태에서 한계점을 말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앞으로 최소한 5~10년은 두고 봐야 할 것 같습니다.

 

5. 국내 기업의 자발적인 CSV를 유도하기 위한 방법은 어떠한 것이 있을까요?

일단 뭐.. 마이클 포터 교수의 말을 빌리자면, 이젠 CSV가 선택이 아닌 필수가 될 것이라고 봅니다. 기업이 자발적으로 '이제부터 우리기업도 CSV 하자' 라고 말하지 않아도... 사회와 환경자체가 CSV를 추구하고 있는 쪽으로 가기 때문에, 거스를 수 없는 물결이 되고 있습니다. 이건 마치 우리나라에서 기업이 상품생산과정에서 환경을 오염시키면 안된다는 사회적 인식을 거스를 수 없게 된 것 처럼 말이죠...  30년 전만 하더라고.. 기업이 환경오염시키는 것에 대해 별 생각이 없었습니다. 지금의 중국처럼 말이죠... 

 

CSV를 인위적으로 유도하기 위한 방법을 논의하기 이전에, CSV의 개념이라도 잘 정립되고 정착되기를 바라는 마음 간절합니다.

 

6. CSV를 바라보는 대학생들에게 해주고 싶은 말이 있으실까요?

CSV는 기업의 경영전략입니다. 그 이상, 그 이하도 아닙니다. 마이클포터는 기업경영전략의 대가입니다. 그는 CSR 전문가도 아니고, 기업사회공헌전문가도 아닙니다. 본인의 전문분야인 경영전략의 입장에서 CSV를 말한 것 가지고.. 이제는 CSV가 대세이니 기업사회공헌도 CSR도 전부 CSV 방식으로 바꿔야 한다는 것은 정말 초딩수준의 사고 입니다.

 

경영전략이라는 것은 기업이 이익을 내기 위한 하나의 '방법론' 입니다. 경영전략을 공부해 보면 알겠지만, 어떤 경영전략 한가지에다 올인하는 기업은 없습니다. 그리고 그것을 기업사회공헌팀의 이름을 개명하는 데 사용하지도 않습니다. 거듭 말씀드리지만, CSV는 기업사회공헌팀이 할일이 아닙니다. CSV TFT에 사회공헌팀이 참여할 수 는 있겠지만, 사회공헌팀 자체를 CSV팀으로 바꾼다 얘기는 뭔가하면, "이제부터 우리기업은 순수한 사회공헌활동은 하지 않고, 기업의 이익이 발생되는 사회활동만 골라서하겠다" 는 선언을 하는 것입니다. 이게 좋은 건가요? 저는 그렇지 않다고 봅니다.

 

CSR을 기업의 경영철학과 원칙으로 삼아 기업의 비즈니스모델과 운영제도, 운영방식에 전체적으로 적용되도록 만들고, CSR의 구체적인 여러가지 활동 중에 기업의 이익을 가지고 지역사회에 필요한 부분에 사회공헌활동을 하고, 기업의 이익을 내는 상품과 서비스 개발에 CSV의 개념을 적용시킨다면, 정말 훌륭한 기업을 넘어서 위대한 기업이 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따라서 CSV에 대한 관심과 공부를 하는 대학생들에게 하고 싶은 말은 CSV를 뭔가 만병통치약으로 보지 말았으면 합니다. 딱 그말을 하고 싶습니다.

 

아마도 질문한 학생이 원하는 정확한 답이 아닌 것 같아 미안하긴 한데....  제 수준이 여기까지 입니다. 전문가가 아니라고 했잖아요^^

 

자! 오늘은 여기까지 입니다 !!

 

** 이번 주는 주말에 가정내 행사가 있어서, 포스팅을 못할 것 같아.. 목요일에 하게 됩니다. 양해 부탁드립니다. 스터디에 관한 공지는 곧 나갈 겁니다. 쫌만 기다려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