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굶어도 '책'

기업의 사회적책임활동 10계명 (1) - CSR의 정의와 중요성

by Mr Yoo 2009. 7. 23.

 

 

 

 

** 지은이 : 신강균 / 한세대학교 미디어 영상학부 교수

** 출판사 : COMON BOOKS

** 발간일 : 2008. 10. 20

 

1장 - CSR의 정의와 중요성

 

1. CSR이란? (12p)

    - "CSR의 신화' (데보라 도온) : 이익창출 및 이해관계자들의 수요에 부응하기 위해 규제에 순응하는 것 이상으로 기업이 노력

        하는 것

    - OECD : 기업과 사회와의 공생관계를 성숙시키고 발전시키기 위해 기업이 취하는 행동

    - WBCSD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세계기업 협의회) : 직원,가족,지역사회 및 사회전체와 협력해 지속가능한 발전에 기여하

       고 이들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기업의 의지

    - 신강균 : 자기회사의 이익을 창출하는데에 사명감을 갖고 있던 범위를 넘어 이웃과 환경을 생각하는 이타적인 사명감까지

       지니고 그것을 실천하는 행위라 할 수 있다.

    - 기업은 사회에 그 존속기반을 두고 있기에, 기업이 단지 경제적 집합체로서의 목적 즉 '경제적 가'치보다는 광범위한 인간

       적가치'를 우선시해야 한다.

 

2. CSR의 중요성과 효과 (13p)

   - 기업이 왜 CSR을 중요시 여기게 되었을까, 그것은 기업에 대한 시각도 경영적 이익성과보다는 전 사회문제의 구원적인

     주체로서의 인식이 변화하고 있기 때문이다.

   - 사회공헌활동의 효과

     1) 해당 기업의 이미지 개선에 기여하고

     2) 해당 기업의 경쟁력을 개선시키며

     3) 고용원과 그 기업의 납품업자, 판매업자의 사기나 자부심을 증진하고,

     4) 좋은 인재를 고용하는데 도움이 되며,

     5) 기업의 문제점이 사회에서 야기 될 때, 이를 막아주는 병풍역할을 하고,

     6) 장기적 이윤을 증진시킬 수 있다.

 

3. 국내기업의 CSR 활동의 흐름 (16p)

   - 1980년대 이전 : 기업의 CSR활동에 대한 인식이 희박한 단계로 수출을 증대시켜 경제발전에 기여하고 제품을 값싸게 제공하는 기업이

      곧 사회적으로 존경받는 기업이었다.

   - 1980년대 : 기업재단의 설립이 증가하였지만 이는 주로 기업에 대한 사회적 비판에 대응하기 위한 목적이 강했다. 민주화 및 시민의식의

      성장 등 기업윤리 및 사회적책임에 대한 비판이 시작되는 시기이다.

   - 1990년대 초기 : 기업의 CSR활동이 본격적으로 시작된 단계이다. 환경적 문제를 비롯한 여러 비도덕적 사건들로 인하여 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비판이 고조되었다. 사회복지체계에서부터 지역사회와 커뮤니케이션 활성화에 이르기까지 CSR의 필요성을 인식하기 시

     작했으며 더불어 사회공헌활동 전담 부서를 신설하는 기업들이 증가했다.

   - 1990년대 후반 : IMF 불황이 본격화되면서 기업의 사회공헌활동이 감소되었고, 특히 IMF를 겪으면서 우리나라 전체 기업 기부액도 30%

      나  감소되었다.

   - 2000년대 : CSR 활동이 다시 본격화 되어 다양한 주제와 방법으로 활성화되기 시작했다. 기업들이 보다 전략적이고 효율적인 주제선정

     과 사업관리를 통해 체계적인 CSR의 단계로 접어들고 있다고 할 수 있다. 기업의 외적 요구되 이제 실적이 좋은 기업에서 존중받는 기업

     으로, 좋은 기업에서 사랑받는 기업으로 나아가길 원하는 추세이며, 이에 발맞춰 기업의 사회적인 책임과 그에 따른 활동들을 중요시

     여기는 시대가 오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