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업의 사회적책임153

아름다운 제휴 (2) - 제휴전략 ○ 저 자 : 셜리 사가와, 엘리 시걸 ○ 발 간 : 2001년 12월 10일 ○ 출판사 : 아르케 2. 제휴전략 (50p) 파트너십은 두 부문 (기업과 시민/시민단체) 모두에게 자원의 한계를 극복하고 이를 확장시킬 수 있는 방법을 부여해 왔다. 따라서 이 두 부문은 제휴를 통해서 유연성을 확장시킴과 동시에, 능력을 배가.. 2009. 11. 23.
탐욕의 시대 (2) - 인위적으로 만들어지는 가난 ○ 저자 : Jean Ziegler ○ 출판사 : 갈라파고스 ○ 출판일 : 2008년 12월 15일 인위적으로 만들어지는 가난 (32p) - 오늘날 과거보다 훨씬 강력하고 냉소적이며, 예전에 비해 한결 야만적이고 교활한 새로운 봉건 지배 세력이 등장했다. 이들은 바로 제조업,은행업,서비스업, 상거래에 종사하는 거대 다국적 민.. 2009. 10. 27.
아름다운 제휴,기업&시민단체&시민 (1) - 출발 ○ 저 자 : 셜리 사가와, 엘리 시걸 ○ 발 간 : 2001년 12월 10일 ○ 출판사 : 아르케 제1부 - 출발 머리말 (43p) - 주위를 둘러보면, 거의 어느 곳에서나 기업과 시민,사회단체간의 상호작용이 점차 확대되어가고 있다는 증거를 찾을 수 있다. 전통적인 기부외에, 혁신적인 기업들은 자기 자신들에게 도움이 .. 2009. 10. 26.
기업은 왜 사회적 책임에 주목하는가? (7) - 직원은 그 회사 편인가? * 저자 : 데이비드 보겔 * 역자 : 김민주, 김선희 * 발행 : 2006.5.18 * 출판 : 거름 직원은 그 회사 편인가? (123p) - CSR의 지지자들은 더 책임 있는 기업이 의욕적인 직원을 유치하고 지속시키는 데 있어 경쟁우위를 누린다고 주장한다. 일부는 기업의 책임성으로 인한 강력한 명성이 기업의 인적 비용을 줄이.. 2009. 10. 26.
탐욕의 시대 - 누가 세계를 더 가난하게 만드는가? (1) ○ 저자 : Jean Ziegler ○ 출판사 : 갈라파고스 ○ 출판일 : 2008년 12월 15일 제1장 - 인간은 누구나 행복할 권리가 있다. (21p) 유토피아를 꿈꾼 사람들 (23p) - 1792년 프랑스 대혁명 당시 과격파 혁명주의자의 리더였던 사제 자크 루는 "특정 계급에 속하는 사람들이 아무런 죄의식도 없이 다른 계급에 속하는 .. 2009. 10. 23.
기업은 왜 사회적 책임에 주목하는가? (6) - 소비자의 순수성 vs 높은가격 * 저자 : 데이비드 보겔 * 역자 : 김민주, 김선희 * 발행 : 2006.5.18 * 출판 : 거름 기업은 왜 사회적 책임에 주목하는가? (6) 제3장 -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이끌어내는 3가지 주체 (105p) - CSR에 관한 비즈니스 사례들의 토대가 되는 것은 무엇인가? 이에 대한 해답을 얻기 위해서는 CSR을 이끌어내는 주체, 즉 소.. 2009. 10. 20.
기업은 왜 사회적 책임에 주목하는가? (5) - 도덕성과 지속가능성 * 저자 : 데이비드 보겔 * 역자 : 김민주, 김선희 * 발행 : 2006.5.18 * 출판 : 거름 도덕성이 지속가능성을 보장하는가? (94p) - CSR의 지지자들은 CSR이 단기적인 기업 수익과 지분 성과에는 영향을 못하지만, 장기적 관점에서는 더 책임 있는 기업이 훨씬 더 좋은 성과를 낼 것이라고 주장한다. 이러한 주장이 .. 2009. 10. 12.
필립 코틀러의 퍼블릭 마케팅 - 제9장 삶의 질을 개선하는 사회적 마케팅 필립 코틀러의 퍼블릭 마케팅 ** 지은이 : 필립코틀러, 낸시리 ** 출판사 : 위즈덤 하우스 ** 출판일 : 2007. 12. 10 제9장 삶의 질을 개선하는 사회적 마케팅 (269p) - 이번 장은 1970년대 초부터 사회적 마케팅(Social Marketing)이란 명칭으로 불려온 독특한 마케팅 원칙에 대해서 자세히 다루고자 한다. 현재 사회.. 2009. 9. 7.
기업은 왜 사회적 책임에 주목하는가? (3) - 비즈니스 환경의 새로운 변화 * 저자 : 데이비드 보겔 * 역자 : 김민주, 김선희 * 발행 : 2006.5.18 * 출판 : 거름 비즈니스환경의 새로운 변화 (65p) 예전만 하더라도, 기업의 도덕성이 상당한 자금과 영향력을 누리는 데 이득이 될 수 있고, 또 그래야 한다는 주장이 전혀 없었다. 하지만 이제 두 가지 요인 때문에 그러한 발전을 기대할 수.. 2009. 9.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