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회사업+'PM'

PM과 사회사업 (2) - 제1장 프로젝트 매니지먼트 프로세스-(1)

by Mr Yoo 2009. 9. 4.

 

* 저 자 : 하버드 경영대학원

* 역 자 : 황금진

* 발 행 : 2008년 3월 27일

* 출 판 : 웅진윙스

* 주 의 : PM과 사회사업을 접목시키기 위한 노력은 선배님들의 학문적인 축적과 실무적인 경험을 바탕으로 한 선행 자료들이 있으면 좋겠으나 아직, 우리 사회복지,사회사업 분야에서는 PM과 사회사업을 접목시킨 연구서나 매뉴얼이 없기 때문에, 부득이 일반 경영서적을 참고하여 글을 작성함을 이해해 주시기 바라며, 위의 교재의 내용을 바탕으로 재구성하는 글임을 알아주시기 바랍니다. 위 책을 사보시고, 그런내용 없는데... 하셔도 '할 말 없슴'...입니다.  

 

제1장 프로젝트 매니지먼트 프로세스 (24p)

 

프로젝트매니지먼트프로세스 - 말 그대로 프로젝트 관리 순서이다. 서울시내 한 복판에 100층 짜리 초고층 빌딩을 건설하는 것에서 부터, 지역의 독거 어르신들을 위한 가을 단풍여행을 진행하는 것 까지 프로젝트의 규모와 내용은 각각일 수 있으나, 프로젝트 매니지먼트의 본질적인 요소들은 모두 동일하다.  

 

- 프로젝트의 일반적인 네단계 프로세스

1) 프로젝트의 규정(오늘의 주 메뉴) 

2) 프로젝트의 계획

3) 프로젝트의 실행관리

4) 프로젝트의 종료

 

이것을 그림으로 구성하면 다음과 같다.

 

 

이 모델은 일목요연하며, 일직선상으로 보이지만, 실제로 PM의 실상은 그렇게 정연하지 않다. 사회복지현장의 많은 실무자들이 경험하겠지만 얼마나 많은 프로젝트들이 계획단계에서 사장되는 경우가 많은가? 또한 실제로 사업을 시작했다고 해서, 목표한 데로 잘 굴러가는 경우는 그리 많지않다. 어쩌면 목표한 그대로 진행되는 프로젝트는 계획에 문제가 있다고 역설적으로 말할 수 있다. 인간의 한계, 미래 예측에 대한 한계로 인해, 계획은 수정이 불가피한 경우가 대부분이기 때문이다.

 

** 오늘의 메인요리

 

프로젝트를 규정하고 구성하기 (26p)

 

이 단계는 두 가지 목적을 지니고 있다.

 

- 프로젝트의 목표들을 최대한 명확히 규정하기

- 그러한 목표들을 위한 적절한 사람들과 필수 자원들을 구성하기

 

1. 목표를 명확히 규정하기

- 상식에 지나지 않는 이러한 조언은 굳이 언급할 필요도 없을 만큼 너무 뻔해 보이지만, 실전에 돌입했을 때 늘 준수되지 않는다.

 

- 당신의 프로젝트로 해결하리라 기대하는 문제는 어떤 것인가?

 

- 당신의 팀에게 당신의 상사나 당신의 복지관, 당신의 지역사회에서 기대하고 있는 산출물과 결과물은 무엇인가?

 

- 당신은 이러한 질문에 나름대로 명쾌한 답변을 할 수 있을지도 모른다. 하지만 그렇더라도 모든 이들이 당신의 대답에 동의하지 않을 수 있다. 당신의 경험과 머릿속에 있는, 그리고 나름대로 조사했다고 하는 지역사회의 현상과 그에 대한  사업의 목표는 실상 지역사회의 사업 대상자들이 원하는 것, 또는 복지관 관장님이나 단체의 이사장님이 원하는 것과 다를 수 있다는 것을 분명히 인지해야 한다.

 

- 사업을 계획하기 전에 당신의 프로젝트를 둘러싼 '이해관계자'들이 악보의 동일한 페이지에 있는 노래를 부르고 있는지 명확히 확인해야 한다.

 

- 프로젝트의 목표들을 가능한 한 가장 분명한 용어들로 명백히 규정하라

 

- 프로젝트를 계획하는 초보자들이 가장 범하기 쉬운 실수는 '자신의 입장'에서 프로그램을 계획하는 것이다. 이러한 계획은 반드시 실패하고 만다.

 

- 사회복지사들의 전문성이 빛을 발하는 순간은 프로젝트를 계획하기 이전에, 다양한 니즈(Needs)를 균형있게 조합하여, 가장 합리적이고 실현가능한 사업목표를 수립하는 것이다. 예를 한번 들어보자

 

* 예1) 잘난종합복지관의 지역복지사업팀 3년차 '나복지'주임은 부장님의 명을 받아 지역의 독거어르신들을 위한 추석지원사업을 계획하려고 한다. 이때 대부분의 사회복지사들은 '작년에 뭐했지..' 라며, 작년 사업내용을 뒤지고, 작년에 시행했던 '지역어르신들을 위한 추석효도나들이'의 계획서를 발견한다. 그리고 작년 사업 담당자인 '너지역' 주임에게 사업계획서 파일을 달라고 해서, 훑어본 후 날짜와 나들이 장소, 그리고 예산을 약간 수정한 후 계획서 출력하여 부장님께 올린다...... 이런 사회복지사는 짤라야 한다.   

 

* 예2) 별난노인종합복지관의 지역복지사업팀 신입 '김이쁜' 복지사도 부장님의 명을 받아 지역의 독거어르신들을 위한 추석지원사업을 계획하려 한다. 김이쁜 복지사는 우선 작년에 시행했던 '효도나들이' 사업계획 및 평가서를 검토한 후 부장님께 작년사업평가가 어땠는지 여쭤본다. 부장님은 작년에 어르신들이 나들이 간다고 했을  때, 처음에는 좋아하시더니, 막상 당일 가을 날이 덥고, 이동 거리가 멀어서.. 다녀오신 후에 며칠동안 앓아 누우신 어르신들이 몇분 있었으며, 반응도 그리 좋지 않았다고 말씀하시며, 작년에 관장님이 효도관광 다녀오신 후에 내년에는 다른 사업을 해야겠다고 말씀하신 것이 기억난다고 하신다. 김이쁜 사회복지사는 점심시간을 이용하여 복지관 경로식당에 식사하러 오신 몇분 어르신에게 이번 추석에 뭘 하시면 좋겠냐고 여쭤봤다. 어르신 한분이 작년 나들이 때 더워서 고생을 많이 했다고 말씀했고, 올해는 복지관에서 맛있는 음식이나 넉넉히 해줘서, 추석 명절 음식이 부족하지 않았으면 하고 말씀하신다 그 대화를 듣고 주위에 어르신들이 어디 가는 것 보다, 집에서 편안히 맛난 것 먹고 있는게 최고지.. 하시면 맛장구를 치셨다.  김이쁜 복지사는 점심 시간 후 자원개발팀 동료에게 혹시 이번 추석에 특별 후원을 하겠다는 곳이 없냐고 물어봤고, 동료는 마침, 같은 동에 있는 은행지점에서 어르신들을 위해 추석에 떡과 과일을 좀 해드리고 싶다고 연락이 왔다고 한다. 이러저러한 상황을 파악한 김이쁜 복지사는 이번 추석 어르신들을 위한 지원사업의 제목을 '지역사회 독거어르신을 위한 추석명절 음식 지원사업' 으로 정하고 '지역의 독거어르신 150분에게 추석전날까지 각각 송편 1kg, 과일(사과,배 각각10개) 지원'을 목표로 설정하고, 사업계획서를 작성 부장님께 올렸다.... 이런 사회복지사 넘, 이쁘다

 

자, 예)가 뭐 이렇냐고.. 시시하다고 말씀하시면, 더 복잡하고 난리법석인 예를 들어 드릴 수 있으나, 언제 지루하게 다 읽으시려고 그러시나.. 여기서 이야기하고 싶은 건 사업의 목표를 정할 때 나 혼자 생각하거나, 예전에 했던 걸 답습하는 일을 그만하라는 것이다.

 

자, 프로젝트의 목표를 명확하기 위한 방법은

1) 프로젝의 동기가 된 문제점이나 기회

2) 프로젝트의 결과물이 어떠해야 하는지에 관한 합의를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삼은 의견교환을 통해서이다.

 

즉, 어르신들에게 추석지원사업을 왜? 하고자 하는지의 동기나 문제점이 무엇인지, 그리고 실제적으로 당사자인 어르신들의 요구사항은 무엇인지, 그것을 실행할 자원은 현실적으로 확보 가능한지, 복지관 내부의 시행자들의 반응은 어떤지를 두루 살피고 합의를 보아야  한다는 것이다.

 

당신의 프로젝트에서 핵심을 이루는 진정한 이슈는 무엇인가? 다음의 몇가지 질문들을 자문해 보라

 

1) 우리가 시도하려는 것에 대해 사람들이 인지하고 있는 니즈나 목적이 무엇인가?

2) 사람들이 왜 이것을 해결할 필요가 있는 문제점으로 여기고 있는가?

3) 결과물에 대해 이해관계가 있는 사람들이 누구인가?

4)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의 목표들이 어떻게 다른가?

5) 이해관계자들은 성패를 가늠하는 데 어떠한 판단기준을 활용할 것인가?

 

여기서 앞으로 계속 언급할  이해관계자에 대해서 집고 넘어가자

 

이해관계자란 프로젝트의 결과물에 이권(利權)을 지니는 사람을 말한다. 또한 프로젝트의 성패를 가늠하게 될 사람이기도 하다. 프로젝팀원들, 고객(대상자)들, 고위 경영진(관장님, 부장님..), 후원자들 모두가 이해관계자가 될 수 있다. 프로젝트의 이해관계자들을 파악하기 위해 다음의 주의사항들에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 프로젝트의 활동이나 결과물에 영향을 받게 될 개인들의 역할

- 인력,공간,시간,수단,자금을 포함하는 프로젝트 자원들의 기여자들

- 프로젝트 결과물의 사용자들 그리고 혹은 수혜자들

 

오늘의 결론은 이것이다.

 

성공하는 프로젝트를 원한다면 프로젝트의 목표를 명확히 할 것, 그러기 위해서는 이해관계자의 니즈를 충분히 파악하고, 협의해야 한다는 것이다. (** 혼자 똑똑한척, 다아는척, 잘난척 하지 말라는 말이다.)

 

명확한 목표가 어떤 것인지는 계획수립단계에서 다시 자세히 언급하도록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