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lanced CSR & ESG

CSR... 다른 나라들은 어떻게 하고 있을까요?

by Mr Yoo 2016. 4. 3.



Balanced CSR


다른 나라들은 어떻게 CSR을 실천하고 있을까요?


- 글로벌 기구들의 CSR  - 



울, 아들에게 바라는 점 한가지..


올해 중학생이 된 아들에게 바라는 점 한가지가 있다면.. '세계인(世界人)'으로 살았으면 한다는 것입니다. 강원도 산골에서 태어나 평생을 그곳에 살고 계신 울 아버지는 오래 전 저에게 '그래도 너를 이 촌구석에서 서울로 보낸 걸 잘 했다고 생각한다' 는 말씀을 하셨습니다. 고향이 늘 그립긴 하지만.. 서울에 와서 넓은 세상을  경험하고 많은 사람들과 만나며 사는 것이 좋습니다. 울 아버지는 저를 서울로... 저는 울 아들을 세계로 보내고 싶은 바램이 있습니다.


오늘은 다른 나라의 CSR 얘기를 좀 해보려고 합니다.  제가 뭐.. 다른 나라 사정을 잘 아는 건 아니구요... 딸랑 작년에 영국가서 몇몇 기업 CSR담당자 만난 것이 전부고요(내년 가을에 또 나갈예정이니.. 함께 가시죠^^)... 요즘 학교에서 숙제하면서 모은 자료들을 공유하고 정리하는 차원에서 써 봅니다. 오늘은 일단 글로벌 국제기구들이 요구하고 있는 기업의 사회적책임, CSR에 대한 이야기를 먼저하구요.... 다음 기회에 다른 나라들의 CSR 실천에 대한 이야기를 살금살금해보겠습니다... CSR, 사회공헌담당자들이 알아두면 좋을 '상식'수준에서 정리해 보겠습니다.




OECD 다국적기업 가이드 라인


OECD(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_경제개발협력기구)가 1976년 제정(1979년 1차 개정, 1984년 2차, 1991년 3차, 2000년 4차, 2011년 5차 개정)한 국제투자 및 다국적기업에 관한 OECD선언의 일부분으로서 회원국 영토 내에서 활동하는 다국적기업의 의무사항을 권고하고 있습니다. 올해로 40주년이 되고, 지난 2월17일 서울에서 40주년 기념 세미나도 열렸습니다.


영어로 공식명칭은 OECD Guidelines for Multinational Enterprises 입니다. OECD가이드라인은 아시다시피 법적구속력이 없기 때문에, 실효성에 대한 의문이 제기 되고 있지만, 시민단체나 언론들이 이것을 기준으로 글로벌 기업에 대한 '망신주기' 또는 '불매운동'을 하고 있기 때문에.. 해외에 진출하는 국내기업들은 알아두면 좋을 겁니다. 


일반정책, 정보의 공개, 인권, 고용 및 노사관계, 환경, 뇌물공여/뇌물청탁 및 강요방지, 소비자 보호, 과학 및 기술, 경쟁, 조세에 대한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를 이행하고 홍보하기 위해서 회원국마다 연락사무소(NCP_National Contact Point)를 설치하고 운영하게 되어 있습니다.


'서문' 일부를  소개하고, 전문을 첨부합니다.


‘OECD 다국적기업 가이드라인’은 다국적기업에 대한 가입국 정부의 권고이다.  가이드라인은 다국적기업의 활동이 가입국 정부 정책과 조화를 이루도록 하고, 다국적기업과 그들이 활동하는 사회 간 상호 신뢰 기반을 강화하며, 외국인 투자환경이 개선되도록 돕고, 지속가능한 개발에 대한 다국적기업의 기여를 촉진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가이드라인은 ‘OECD 국제투자 및 다국적기업 선언’의 일부이며, 이 선언서는 본 가이드라인 외에 내국민 대우, 다국적기업에 적용되는 상충요건, 국제투자의 장려 및 저해 요인을 다루고 있다. 본 가이드라인은 관련법률 및 국제적 기준에 부합하는 사회책임경영에 관한 자발적 원칙 및 기준을 제시하고 있다.(OECD 다국적기업에 관한 가이드라인 서문 중 일부)




OECD 다국적기업 가이드라인 2011(국영문).pdf







GRI (Global Reporting Initiative)


GRI는 지속가능 보고서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하는 국제기구로 1997년 설립되었습니다. CSR 담당자들이 기본적으로 하는 일이 CSR리포트 또는 지속가능보고서를 제작하는 일인데... 우리나라의 경우 100개 기업정도가 지속가능보고서를 발간하고 있습니다. 진짜.. 얼마 안되는 숫자입니다. 앞으로는 더 많아졌으면 합니다. 우리회사도 제작 안하고 있어요.. ㅠㅠ;; 


GRI는 잘 알려진 바와 같이 1989년 알래스카 프린스월리엄사운드 해안에서 유조선 엑손발대즈호가 암초에 부딪쳐 4만톤의 원유가 유출되는 사고가 났고 현재까지 그 피해가 지속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사고가 더 이상 발생하지 않도록 하자는 취지에서 미국의 환경단체인 세리즈가 1997년 유엔환경계획(UNEP)와 협약을 맺고 GRI를 설립하였습니다.


우리나라에서는 2003년 현대자동차가 GRI 가이드라인에 부합하는 지속가능 보고서를 발간했고, 포스코와 삼성 SDI도 같은해에 보고서를 발간했습니다. 이런 회사들이 재빠르게 움직인 이유는 국내에서 보다는 국외에서 사업을 많이하고, 수출하는 국가의 바이어나 정부, 지자체, 수출입관련 정부기관, 상대국 기업 등에서 지속가능보고서를 요구하는 경우 많기 때문입니다.


GRI 보고서는 경제(경제성과, 시장지위, 간접적경제효과), 환경(원료, 에너지,용수, 생물다양성, 대기 배출, 폐수, 폐기물, 제품 및 서비스, 법규준수, 운송), 사회(노동여건 및 관행, 인권, 사회, 제품책임) 등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각 분야의 성과지표가 총84개로 구성되어있습니다. 지속가능보고서를 작성할 때 GRI 기준을 따르고 있느냐 하는 것이 중요한데요... 실질적으로 외부 전문기관의 컨설팅과 검증에 관한 제대로 된 인증을 받으려면 돈이 많이(최소 수천만원) 들기 때문에... 어지간한 기업들은 만들지 못하고 있는 실정입니다. 이런 건 좀... 전경련이나 상공회의소 이런데서.. 기업들 회비 걷어서.. 엉뚱한데 쓰지 말고... 지속가능보고서 저렴하게 만들고, 저렴하게 검증 받을 수 있는 시스템 만들어 주었으면 참 좋겠습니다.    






GRI 는 G4까지 버전이 업그레이든 된 상황입니다. 원문이 10MB가 넘기 때문에 블로그에 첨부가 안되서, 링크만 걸어둡니다. 다운받아 보시면 됩니다. GRI G4 다운받기 ☞클릭 (안타깝게도 영문입니다 ㅠㅠ;;)





UNGC(UN Grobal Compact)


1999년 1월 스위스 다보스 포럼에서 당시 코피아난 유엔사무총장이 '공유가치와 원칙에 대한 전지구적 약속을 시작'할 것을 제안하였고, 2000년 7월 뉴욕 UN본부에서 UNGC가 창설되었습니다. 한국에도 UNGC한국협회가 있습니다. (홈페이지 바로가기 ☞ 클릭) 전세계적으로 21,368개 기업 및 단체가 회원으로 가입되어 있으며, 한국협회에는 284개 기업 및 단체가 회원으로 가입되어 있습니다.


UNGC는 위의 그림과 같이  인권, 노동, 환경, 반부패의 4개 분야의 10개 원칙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회원기업이나 단체는 이 원칙에 대한 실행계획과 실행보고서를 제출해야 할 의무를 가지고 있습니다. 잘되고 있는지는... 잘 모르겠습니다





ISO26000


ISO(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_ 국제표준화) 기구에서 2010년 11월에 발표한 사회책임과 관련한 국제가이드라인입니다. 이 블로그에서 수십번 소개했기 때문에, 또 얘기하는 것이 지겹겠지만... 한번 더 말씀드리면..ISO26000은 기업을 포함한 모든 사회적조직의 사회적책임을 말하는 것으로, 조직거버넌스, 인권, 노동관행, 환경, 공정운영관행, 소비자이슈, 지역사회 참여와 발전 등 7개의 주요핵심주제가 상호 의존적 관계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가이드라인 전문(영어원문)을 용량초과로 첨부하지 못하고, 링크만 걸어드립니다.






ISO26000 가이드라인 영문다운 받기 ☞ 클릭  





UN SDGs


2015년 9월 유엔개발정상회의에서 채택한 것으로 2030년까지 모든 형태의 빈곤을 퇴치하기 위해 전 세계 정부와 기업, 시민사회 등이 합의한 17가지 핵심목표입니다. CSR에 대한 요구사항이라고 보기엔 쫌 어렵지만, 기업들이 CSR을 실행할 때 어떤 점을 중요하게 여기고, 어떤 분야에 선택과 집중을 해야할 지에 대한 방향을 알 수 있는 것입니다.


여기도 링크.. UN SDGs 바로가기 ☞클릭


SDG Compass 국문판 다운받기 ☞클릭





이외에도 'UN 기업과 인권을 위한 프레임워크'.. '세계지속가능발전기업협의회(WBCSD)'.. '전자산업 시민정신 연합(EICC)' 등등등이 있는데, 위에 다섯가지만 잘 알아두셔도... CSR과 관련된 국제기구의 요구사항에 대한 기본적인 상식은 알고 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 다음 기회에 다른 나라의 CSR 실행에 대한 이야기를 또 올려보겠습니다. 


그럼.. 오늘은 여기까지... 꽃피는 봄입니다. 오늘은 밖에 나가서 꽃구경 좀 하시기를~~


블로그 찾아주시는 분들 늘 고맙고 감사합니다. 다음 주에 또 뵙겠습니다.

OECD 다국적기업 가이드라인 2011(국영문).pdf
1.14M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