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lanced CSR & ESG

사회적기업 '베어베터' 현장탐방기!!

by Mr Yoo 2016. 5. 27.

 

 


사회적기업 현장탐방기

 

베어베터.. 꼭 성공했으면 하는 세가지 이유

http://bearbetter.net

 

 


회적기업 '베어베터'에 다녀왔습니다.

 

지난 5월4일 늦은 오후에 서울 성동구 서울숲 인근에 위치한 사회적기업 베어베터에 다녀왔습니다. 베어베터를 찾아간 이유는.. 현재 쓰고 있는  논문의 주제가 '사회적기업과 CSR'이라서.. 참고자료를 얻기 위해서였습니다. 그리고 더 중요한 이유는 발달장애인청년일자리 사업에 대한 벤치마킹을 하기 위해서였습니다... ^^;;

 

아시다시피 제가 일하는 회사의 사회공헌사업 중에 '행복한 베이커리&카페'.. '행복한 베이커리 교실'.. '해피투게더 베이커리'..가 있는 데.. (자세한 내용은 ☞ 클릭 )... 이 사업들 모두 발달장애인 청년들의 일자리를 만들기 위한 것들입니다. 사회적기업 베어베터는 발달장애인 청년들의 일자리를 위해 2012년에 설립된 곳으로 창립 4년만에 발달장애인 청년 140명을 고용한 엄청난!! 놀라운!! 성과를 거두고 있어, 어떻게 하면 저렇게 잘 할 수 있을까를 배우기 위해 찾아갔습니다. 

 

운이 좋게도  저의 지도교수님이 베어베터 김정호공동대표님과 대학동기라서 어렵지 않게 현장방문과 두분의 공동대표(김정호, 이진희)님 인터뷰를 할 수 있었습니다.

 

그럼, 아주 간략한 현장방문기 시작하겠습니다. (짧게! 짧게!)

 

 

 

 

베어베터가 잘되었으면 하는 세가지 이유...

 


1. 사회적기업의 지속가능모델을 보여주었으면 좋겠습니다.  

 

사회적기업 뿐만 아니라, 일반 영리기업, NGO/NPO에서도 가장 고민하고 있는 것이  '우리 회사, 우리 조직을 어떻게 하면 지속가능하게 할 것인가?' 일 겁니다. 특히 사회적기업의 경우 국가, 사회, 경제, 제도적으로 많은 장점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에서 크게 확대, 성장하지 못하고 있고... 기대만큼 사회, 경제적인 효과를 내고 있지 못한 것이 현실입니다. 저도 장래의 꿈 중에 하나가 사회적기업을 여는 것인데... 준비를 잘해야겠죠!!

 

물론 사회적기업 육성법과 인증제가 시작된 2007년에 50개에 불과했던 사회적기업이, 2015년 말 1,506개로 30배가 넘는 양적성장을 했지만... 전체 사회적기업의 총 매출이 2014년 기준 1조 4,651억원에 불과하고, 고용인력도 33,527명 정도의 규모입니다(사회적기업 고용인력 1명당 연간 매출 약44백만원)... 물론 열악한 여건속에서 10년이라는 짧은 역사를 가지고 이정도면 굉장한 것 아니냐.. 라고 평가 할 수 있지만... 국가경제라는 큰 관점에서 보면.. 사회적 기업이 우리국가경제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GDP대비 0.09%에 불과합니다. 즉, 우리나라 국민이 1년 동안 벌어들이는 돈이 총10,000원이라고 한다면, 이중에 사회적기업이 벌어들이는 돈이 9원에 불과하다는 뜻입니다. 이런 상황에 대해 여러가지 이견과 이론이 있지만 사회적기업이 기대할 만큼의 사회변화를 이루기 위해서는 적어도 GDP대비 5% 정도는 되야 한다는 것이 이쪽 분야 전문가들의 의견입니다. .    

 

그렇다면, 우리나라에서 사회적기업을 활성화시키고 사회적기업이 긍정적인 역할을 많이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어떻게 하면 좋을까요? ...전문가들의 말을 빌리자면, 크게는 사회적기업을 창업하고 성장시키는데 안정적인 생태계를 만들어야 한다는 것이구요... 작게는 개별 사회적기업의 경쟁력과 지속가능성을 높여야 한다는 것입니다. 


여기서.. 큰 그림을 이야기하기에는 좀 많이 부족하고, 작은 것..  개별 사회적기업의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서는 어떻게 하면 좋을까를 생각해보면,  당연히 여러가지가 있겠지만... 여기저기 찾아보고, 물어보니... 가장 시급한 것이 '지속가능한 비즈니스 모델'을 만드는 것과 '내부역량'을 키우는 것이라고 합니다.


현재 우리나라 사회적기업 중 향후 5년, 10년 이후에도 과연 현재 수준 또는 더 나은 수준으로 기업을 잘 운영하고 지속적으로 성장시킬 수 있는 기업이 몇개나 될 것인가? 에 대해 몇분의 이분야 고수들에게 물어보니.. 공통적으로 즉답을 회피!! 하면서... 다만... 긍정적이지는 않다라고 대답을 하더군요...


특히 지속가능성이 굉장히 중요한 문제가 되는 것이... 우리나라 국가인증 사회적기업 1,506여개 중 1,059개, 즉 70%에 이르는 대부분의 기업이 취약계층을 고용하는 사회적일자리 제공형 비즈니스 모델을 가지고 있는데, 이것이 정부의 예비사회적기업 2년, 사회적기업 인증 후 3년의 재정지원 기간이 끝나면... 안정적인 일자리 제공이 어려워져서, 일부는 문을 닫거나... 아니면 직원 수를 줄이는 사회적기업이 50%를 넘는다고 합니다. 즉, 사회적기업의 지속가능성이 낮으면, 안그래도 어려운 형편에 있는 취약계층 분들의 일자리가 없어지고, 줄어든다는 말입니다.   


사회적기업의 가장 중요한 역할 중 하나인 고용창출(특히, 신자유주의체제 무한경쟁시장에서 일자리를 얻기 어려운 계층을 위한)과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일자리 보장을 위해서도, 사회적기업의 지속가능성은 굉장히 중요한 당면과제입니다.. 그런데... 이런 과제를 떡! 하니 해결하고, 여러 장애유형 중에서도 취업하기 가장 어렵다는 발달장애인 청년들을 매월 신규채용하고 있는 사회적기업이 있으니... 그곳에 바로 '베어베터'입니다.


베어베터의 성장세를 한번 보실까요?



베어베터의 연간매출액, 장애인직원수, 연계고용계약기업 증가추이

(베어베터 제공)



2012년 5월 창업당시 5명이었던 장애인 직원수가 2012년 말 51명, 2013년 80명, 2014년 83명, 2015년 137명으로 늘었고, 며칠전에 방문했을 때는 140명이 넘는 발달장애인청년들이 열심히 일하고 있었습니다. 베어베터가 이렇게 장애인직원의 고용을 놀랍도록 빨리 늘려가고 있는 비결은 비즈니스모델에 그 해답이 있습니다. 베어베터의 비즈니스 모델을 알기 쉽게 그림으로 그려보았습니다. 



 

 


아마.. 그림을 보아도 한눈에 팍!! 들어오지 않을 겁니다.... 제가 그림을 잘... 못그려서.. ^^;;  간단히 설명드리면, 우리나라에는 장애인고용촉진법이라는 것이 있습니다. 50인 이상을 상시고용하는 정부, 공공기관, 기업, 학교, 병원 등등등 모든 직장은  2~3% 범위 안에서 장애인을 의무적으로 고용해야 합니다. 고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고용하지 않는 인원 비율에 따라 매월 최소 757,000원 최대 1,260,270원을 연단위 부담금으로 국가에 납부해야 합니다.


그런데... 회사 사정에 따라 장애인을 고용하는 것이 여의치 않으면, 장애인들이 일하고 있는 장애인표준사업장이라는 곳과 장애인연계고용계약을 맺고 그곳에서 생산하는 물품을 일정비율과 금액이상 구매하면, 그것을 장애인 고용으로 인정해주고, 부담금을 최대 50%까지 감면해준다는 것입니다. 이래도 잘 모르겠죠... 그래서, 아래 표로 정리해 보았습니다. 표를 보고도 이해 못하면 패스~~




아무튼... 장애인연계고용제도를 활용한 비즈니스모델 덕분에, 베어베터와 거래하는 기업은 장애인 고용부담금을 줄이면서 물건까지 구매하니 일석이조의 효과를 거두고... 베어베터는 장애인고용을 늘리고, 물건도 팔게되니.. 역시 일석이조의 효과를 보는 것입니다. 합이 '일석사조!!' .. 장애인연계고용제도 뿐만 아니라... 잘 찾아보면... 국가제도와 영리기업의 필요를 잘 엮어서 새롭게 만들 수 있는 사회적기업의 비즈니스모델이 분명히 있을 것이라고 봅니다. 베어베터가 이 모델을 통해 사회적기업의 지속가능한 비즈니스 모델의 모범을 보여주었으면 하는 마음 간절합니다.




2. 성공한 '기업가'에서 성공한 '사회적기업가'로의 변신을 기대해봅니다.

   



                        * 베어베터 자료제공



페이스북 창업자 '마크 주커버그' 가 작년 12월 자신의 딸 '맥스'의 탄생을 기념하며 언론을 통해 자신이 보유한 페이스북 지분 중 99%를 살아있을 때 자선사업에 기부할 것이라고 했습니다. 우리나라 돈으로 대략 환산하면 50조원이 넘습니다. 그리고.. 얼마 후 그 기부의 형태가 일반적인 자선단체에 기부하는 것이 아니라.. 유한책임회사를 설립하여, 사회적 취약 계층을 위한 질병치료, 교육, 인터넷 연결의 문제를 해결하는 소셜벤처에 투자하는 방식이 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뭐든지.. 삐딱하게 보는 사람들은 상속세를 피하기 위한 꼼수라고 말하기도 했지만... 과연 그럴까요... 저는 그렇지는 않을 것 같습니다. 암튼..


현재 세계1위 부자인 빌게이츠의 경우도.. 본인과 부인의 대부분의 재산을 '빌게이츠&멜린다' 재단에 기부하면서 이런 말을 했습니다. " 전 세계적인 문제를 해결하는데.. 기존 자선단체의 방식보다 기업의 방식이 더 효율, 효과적일 수 있다. 나는 빌게이츠&멜린다 재단의 사업방식이 보다 기업적인 방식이 될 것으로 예상한다" 고 했습니다.  


물론, 성공한 기업가들이 자선사업 영역에서 기업경영방식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것에 대해 비판적인 의견도 많지만.. 저는 특정한 사회문제를 단시간 내에 해결하는 데 있어서는 기존의 자선단체들이 해오던 점진적인 방식보다.. 오히려 기업의 공격적이고 효율성을 중시하는 방식이 더 나을 수도 있다는 생각을 종종합니다.


그런의미에서... 성공한 벤처사업가인 김정호대표님과 기업 임원출신인 이진희대표님이  성공적인 사회사업가로 우뚝!! 서 주시기를 기대해 봅니다. 기존 자선단체들도 새로운 비즈니스모델을 찾아야 하고, 조직과 경영혁신이 필요하다고 저는 생각합니다.  


이진희 공동대표님의 세바시 강연 영상을 링크해드립니다. ☞ 클릭








3. 기업사회공헌담당자, CSR 담당자들이 베어베터를 통해 정신 좀 차릴 수 있기를 바랍니다.


저를 비롯해서... 기업사회공헌이나.. CSR 담당자들이 어느정도 짬밥이 쌓이면 매너리즘에 빠지는 경우가 종종있습니다. 단순한 슬럼프 정도면 괜찮은데...이게 심각해져서... 한 부류는 기업사회공헌이나 CSR의 '무용론'을 주장하며 패배감의 늪에 푹 빠지는 경우도 있고..(요즘 저의 상태..ㅠㅠ;;), 또 한 부류는 더 심각한 경우인데.. '자뻑'에 빠져서.. 이 모든 일들을 '내가 다 이루었다' 고 자랑하며.. 강의 다니고, 책 쓰고, 블로그 쓰고, 페북 자랑질하고.. 게다가 우리회사의 사회공헌이 제일 잘하는 것이라고 하며, 다른 회사의 사회공헌이나 NGO의 사업들을 우습게 막 깔보는 경우(제가 조증일 때...ㅠㅠ;;)도 있습니다.


그런데.. 제가 2012년 베어베터 창립 당시부터 곁눈질로 계속 살펴보고 있는데.. 잘나가고 잘한다고 자랑하는 유명한 기업들의 사회공헌사업보다 효율성, 효과성이 최소 3~5배 정도는 높은 것 같습니다. 물론 김정호, 이진희대표님의 전문성과 경험, 경영자로서의 능력이 워낙 탁월하시기 때문에 평범하기 그지없는 일반 월급쟁이들인 사회공헌담당자, CSR담당자가 따라 갈 수 있는 경지는 아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막대한 자원력을 빵빵하게 보유한 기업들의 사회공헌사업에서 10년 동안 해도 이루지 못한 것들을 베어베터는 단 4년 동안 해내고 있고... 무엇보다.. 멈추지 않는 성장세와 확대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는 것입니다.


이런 부분에서 기업의 사회공헌담당자들과 CSR 담당자들은 반성을 많이 해야합니다. 베어베터만큼만 하면... 우리나라 기업사회공헌과 CSR로 많은 사회문제를 해결해 나갈 수 있을 거라 저는 확신합니다. 저부터 반성하고, 월급 주는 만큼만 일하는 것이 아니라... 사회문제해결과 사회공헌에 대한 책임감과 사명감을 가지고 일해야 겠다는 다짐을 합니다..... 만... 쉽지 않겠지요... 

         

 


 

베어베터에 대한 보다 자세한 이야기는 http://bearbetter.net 에 가보시면 됩니다. 그리고... 빡세게 논문써서.. 블로그에 논문으로 베어베터를 소개하는 날이 곧 오기를 바라겠습니다. 


정말 바쁘신데... 귀한 시간내주신 김정호, 이진희 공동대표님께 다시한번 진심으로 감사드리며, 흔쾌히 주신 귀중한 자료와 인터뷰한 내용은 논문에 잘 담도록 하겠습니다(오늘 블로그 글엔 핵심자료와 두분 인터뷰 내용은 거의 없어요.. ^^;;).


오늘은 여기까지입니다. 다음 주에 또 뵙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블로그에 사용된 베어베터의 이미지는 베어베터 홈페이지에서...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