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굶어도 '책'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 10계명 (4) - 4계명~10계명

by Mr Yoo 2009. 7. 30.

 

 

** 지은이 : 신강균 / 한세대학교 미디어 영상학부 교수

** 출판사 : COMON BOOKS

** 발간일 : 2008. 10. 20

 

제3장 해외와 국내 우수 CSR을 통해 보는 CSR 전략의 십계명

 

4. CSR은 네트워크를 통해 공동으로 실시할 경우 시너지를 얻는다.(45p)

- 한 기업에서 한 가지 주제를 가지고 CSR을 수행할 경우, 기업에 대한 단독적 이미지는 올라갈 수 있겠지만 사회적 이슈가 되는 문제를 보다 효율적으로 진행하기 위해서는 한계가 있을 수 있다. 연관되는 단체나 조직과 연계하여 공동 주최하거나 후원을 하는 형식으로 진행한다면 그 효과가 배가 될 수 있다.

 

5. 실제 행동프로그램을 만들고 참여하라. (47p)

- 주장하는 이슈를 직접 고객이나 지역단체와 접하면서 해결하려는 자세가 중요하다. 그것은 곧 지역에 대한 동익제공은 물론 대내 조직원들의 비전공유를 위한 하나의 기업문화 학습과정이 될 수 있다.

- CSR이야말로 백 마디의 말보다 하나의 행동이 더욱 효과적이며, 이러한 활동을 통해 내부 직원들도 고객에 대한 책임감과 열정이 더해지게 되는 것이다.

- 내부직원의 동참은 기업의 내부문화를 바꿀 수 있다. 왜냐하면 CSR 캠페인은 소비자에게 기업의 철학이나 의지를 나타내는 메시지를 담고 있다. 그 약속은 곧 기업이 깨서는 안 될 의무이자 책임이 되는 것이다. 일종의 고프만(Goffman)의 이론에 해당한다. 사람은 자기가 한 말이나 약속에 대해 스스로 책임을 지고 싶어한다는 심리학설이다.

- 이러한 책임활동을 통해 대외적으로는 기업의 신뢰가 구축되고 내부적으로는 기업의 경영이념이나 가치관을 전 직원이 공유하는 계기가 된다.

- 사회공헌을 실천하는 기업문화는 구성원이 조직에서 나에게 어떠한 행동을 요구하고 있으며 내가 여러 가지 상황속에서 어떠한 행동을 취해야 할 것인가 하는 기준을 주는 역할을 한다. 평상시의 행동에 있어서 공유된 가치와 사고방식에 따라 행동하게 된다.

- CSR 캠페인이 단순한 메시지 전달로만 끝나서는 효과가 없다. 기업문화로 정착하여 기업자체가 그 메세지로 인한 진정한 태도변화가 일어날 때 그 때야말로 소비자는 그 기업을 신뢰할 것이다.

 

6. 차별화된 아이디어가 필요하다. (54p)

- 차별화를 위한 차별화가 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 사회적 이슈에 맞고 기업의 이념과 적합한 범위 내에서 공중들의 주목과 관심을 끌만한 아이디어는 필요하다.

 

7. CSR은 장기간에 걸쳐 실시되어야 한다. (56p)

- 일단 신중하게 주제를 선정하되 한번 정했으면 꾸준히 시행해나가는 고집그러움이 있어야 할 것이다.

- 1889년 설립된 미국의 금융 기관인 워싱턴 뮤추얼은 115년 동안 기부활동을 지속하였다.

 

8. CSR의 활동은 다양하나 메세지는 통일되어야 한다. (58p)

- 프로그램은 다양하되 목소리나 이미지는 한가지로 일정하게 유지해야 그 효과가 반감되지 않을 것이다.

 

9. CSR 전담부서를 통해 전략적 집행과 평가관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60p)

- CSR 총괄부서가 없을 경우에는 내부적으로 기업의 수익을 책임지는 부서와 사회공헌 담당자 사이에 불일치가 생길 가능성이 높으며 이럴 경우 사회책임과 기업중심이 충돌해 회사 자원만 낭비할 가능성이 크다고 전문가는 지적한다.

- CSR 활동은 기업으로 보면 대상만 다를 뿐 비즈니스 활동의 일부이며, 따라서 계획부터 실행, 평가에 이르기까지 철저한 효과분석과 평가관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CSR은 투자의 개념으로 보다 장기적인 안목에서 진행하고 평가해야 한다. 그러나 진정으로 사회적 책임을 다한다는 의미에서 CSR활동을 반드시 손익의 개념으로만 분석할 수는 없다는 지적도 염두에 두어야 할 것이다.

 

10. 적극적으로 홍보하라.(64p)

- CSR의 PR활동은 대내적으로는 사회공헌 활동에 대한 중요성을 공감시켜 내부직원들의 동참을 유도할 수 있다. 대외적으로는 CSR주제에 대한 공중의 인식제고와 이해도를 증진시켜 사회적 변화를 이끌 수 있고 아울러 기업에 대한 긍정적 이미지를 심어 줄 수 있는 것이다.

 

결국 효과적인 CSR을 위한 10계명을 돌이켜 보면, 먼저 자기 기업의 이념과 맞는 사회적 이슈를 주제로 발굴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공간적으로는 많은 유관단체와 네트워크를 통해 공동으로 진행하도록 하고 시간적으로는 한 가지 목소리를 장기적으로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전담부서를 통해 보다 많은 내부 구성원들의 참여를 유도하고 참신한 아이디어를 가지고 적극적은 홍보활동도 펼쳐야 할 것이다. (69p)

 

** 이것으로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 10계명에 대한 서머리를 마칩니다. 책의 뒷부분은 유한킴벌리의 우리강산 푸르게 푸르게 캠페인에 대한 내용으로 책을 구입하셔서 읽어보시면 좋을 듯 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