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업의 사회적 책임182

코로나 19 시대의 기업사회공헌(1)_네이버 온스테이지 코로나 19 시대의 기업사회공헌 (1) 온 스테이지_온라인 문화예술 사회공헌의 세가지 전략 취미가 뭔가요? 그럴 일이 거의 없겠지만 누군가 나에게 '취미가 뭔가요?' 라고 묻는다면 나는 '음악듣기' 라고 대답할 것이다. 자정이 넘으면 하루 과업을 대충 마무리하고 헤드폰을 낀 후 의자에 삐딱하게 걸터앉아 두 다리를 책상에 올린 후 노트북으로 유튜브 음악공연을 감상하는 것이 나의 유일한 취미이자 힐링의 시간이다. 책을 제외하면 나의 소비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것은 음악에 관한 것들이다. 돈 많은 오디오 매니아들에게는 아주 저렴한 입문용 기기이지만 내 방엔 그럴싸한 오디오도 있고, 헤드폰도 제법 가격이 나가는 제품이다. 집에서 요리나 설거지, 청소를 할때도 항상 블루투스 스피커나 이어폰으로 노동요를 듣는다. 제.. 2020. 8. 22.
우리나라 CSR의 역사(8)_2020년대 CSR의 선택 우리나라 CSR의 역사(8) 2020년대 CSR의 선택 우리나라에서 기업사회공헌, CSR, 지속가능경영을 직업으로 삼을 수 있는 사람은 몇명이나 될까? 어림짐작해도 그리 많을 것 같지는 않다. 그런면에서 나는 운이 꽤 좋은 편이다. 이 바닥을 잘 모르는 사람들의 표현을 빌리자면 '좋은 일 하면서 먹고 살 수 있으니' 말이다..^^. 어쨌거나 이렇게 좋은 운, 좋은 일을 계속 유지하기 위해서는 앞으로 가야할 방향을 잘 알고 잘 선택해야한다. 아무리 운이 좋아도 방향을 잘못잡으면 다시 돌아와야 하는데 나에겐 그럴 시간적 여유가 많지 않다. 그렇다면 앞으로 어떤 방향, 어떤 길로 가는 것이 기업사회공헌, CSR, 지속가능경영을 직업으로 삼은 나에게 좋은 선택이 될 것인가... ? 오늘은 그 이야기를 해 보려고.. 2020. 8. 16.
CSR 담당자가 꼭 봐야할 영화 "Dark Waters" CSR 담당자가 꼭 봐야할 영화 다크 워터스 우리 동네 이야기... 다크 워터스... 인터넷에 뜬 영화제목과 줄거리를 보며 고향동네 이야기란 생각이 퍼뜩 들었다. 물론 내 고향은 이 영화의 실제 배경인 미국 웨스트 버지니아는 아니다. 나의 고향은 강원도 정선이고 나는 읍사무소 공무원인 아버지를 따라 탄광촌인 고한에서 어린시절을 보냈다. 고한의 냇물은 말 그대로 '다크 워터스'였다. 탄광에서 흘러나온 물 때문에 냇물은 온통 까맸고 어떤 생물도 살지 못했다. 탄광촌 산동네에는 수도가 제대로 나오지 않았는데 어머니는 빨래대야를 머리에 이고 그나마 조금이라도 깨끗한 물이 흐르는 냇물을 찾아 산중턱까지 30분을 넘게 걸어올라가 빨래를 하셨다. 집에서 혼자 낮잠을 자다 깨어나 빨래하러간 엄마를 찾아 울며 불며 시커.. 2020. 8. 1.
우리나라 CSR의 역사(6)_2000년대_미국식 CSR 따라하기 우리나라 CSR의 역사 _ 2000년대 미국식 CSR 따라하기 복지국가 입문과 민간기부 활성화 IMF금융위기를 국민의 힘으로 극복해보자는 금모으기 운동이 한창이었던 1998년 2월25일 김대중대통령이 취임했다. 김대중 정부는 "국민의 정부" 라는 이름을 내세우고 '외환위기 극복, 자유민주주의+시장경제+복지국가의 병행 발전, 남북화해와 협력' 을 국가의 최우선 정책과제로 삼았다. 이중, 1999년 9월 제정되어 2000년 10월부터 시행된 『국민기초생활보장법』은 국민의 생존과 최소 생계를 국가가 책임진다는 것을 법적으로 명시한 것으로 우리나라가 실질적인 복지국가의 문으로 들어서는 순간이었다. 김대중정부는 국민복지증진을 위해 민간 기업의 참여와 역할도 적극적으로 요구했다. 1998년 11월 『사회복지공동모금.. 2020. 7. 25.
우리나라의 CSR(4) _1980년대 "CSR의 민주화..?" 우리나라의 CSR(4)_1980년대 CSR의 민주화..? 재벌기업의 안착 1972~1981년까지 진행되었던 제3차, 4차 경제개발 5개년 계획은 "성장, 안정, 균형의 조화"를 내세우며 중화학공업화와 수출증대를 통한 국제수지 개선, 농어촌경제의 혁신적 개발 등을 중요 목표로 삼고 안정적 균형을 이루고자 했다. 박정희와 공화당 정권은 경제개발의 장기목표 달성과 남북관계의 불안정을 이유로 1972년 10월 '10월 유신'을 단행, 장기집권의 길을 열었다. 1970년대 정부주도의 중화학공업육성은 한국경제에 재벌기업이 안착할 수 있도록 하는 기회를 제공했다. 엄청난 규모의 예산과 땅, 시간이 소요되는 중화학공업을 육성하기 위해서는 정부가 직접 국영기업을 만들어 운영하거나(포스코와 같이) 아니면 그나마 재력이 있.. 2020. 7. 6.
우리나라 CSR의 역사(3) 1970년대_국가주의 CSR 우리나라 CSR의 역사(3) 1970년대_ 국가주의 CSR 차관, 파견, 파병위에 세워진 공업화 1957년 미국의 무상원조가 유상원조로 바뀌고 그마저 미국의 경기침체로 줄어들자 이승만정부는 원조가 아닌 차관(借款)을 끌어들이기 위해 부랴부랴 차관의 전제조건인 국가경제발전계획을 수립하기 시작했다. 2차 세계대전 종전 직후 식민지에서 독립한 국가들이 중장기 경제개발계획을 세워 외국의 개발차관을 끌어들인 일을 우리나라는 한국전쟁과 휴전 후 정치적 혼란을 겪는동안 때를 놓친 것이다. 이런상황에서 1959년 3월 발표된 '경제개발 7개년 계획'은 이듬해 1960년 3.15 부정선거와 연이어 발생한 4.19민주화혁명으로 빛을 보지 못했다. 그해 6월15일에 들어선 윤보선정부는 7개년 계획을 다듬어 '경제개발 5개년.. 2020. 6. 28.
우리나라 CSR의 역사(2) 해방후~1960년대 우리나라 CSR의 역사(2) 해방 후 ~ 1960년대 친일, 친미세력에게 돌아간 귀속재산 1945년 8월15일 일본이 미국에게 항복함으로써 조선도 일제에서 해방되었다. 해방의 기쁨도 잠시 38도선 북에는 소련군이 남에는 미군이 주둔하는 군정이 시작되었다. 해외에서 급히 귀국한 임시정부인사들을 중심으로 38도선 해체와 정부수립이 바삐 논의되기 시작했다. 해방 후 항일 민족세력들은 일본인은 물론 친일파들의 재산까지 모두 국가가 소유해야 하며, 주요 산업을 국유화하고 국가가 통제하여 민족자본을 만들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하지만 미군정은 개인 재산은 보호한다는 입장을 고수했기 때문에 1945년 9월 말 조선총독부의 재산만 접수했다. 그래서 일본인들은 함께 일했던 종업원이나 지인관계에 있던 친일파들에게 그들의 재.. 2020. 6. 20.
우리나라 CSR의 역사(1) _ 조선후기~ 일제강점기 우리나라 CSR의 역사(1) 조선후기~일제강점기 CSR의 역사를 보는 관점 기업의 사회적 책임(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의 역사를 어떤 관점에서 볼 것이냐에 따라 그 시작을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CSR을 사회공헌과 같은 의미로 이해하는 좁은 시각에서 보면 기업가나 기업이 기부나 자선을 시작한 시기로 그 시작을 정할 수 있고, 인권, 노동권, 환경, 소비자 보호, 공정거래, 윤리경영, 준법경영 등 보다 넓은 의미의 사회적 책임으로 보면 각각의 주제에 따라 그 시작이 들쑥 날쑥 할 수 있다. 한편, CSR이라는 용어와 개념 자체가 미국에서 1950년대 이후 사용되었기 때문에 그때부터 CSR의 역사가 시작되었다고 보는 것이 적절하다는 학문적인 입장도 있지만 용어와 개념이 없.. 2020. 6. 15.
지속가능경영 · CSR 실무자의 필요 역량 CSR 실무자의 필요 역량 사회와 비즈니스의 균형 CSR의 성공요인 영국 옥스포드 대학에서 CSR 과목의 교과서로 쓰이고 있는 『The Oxford Handbook of CSR』 을 보면 CSR의 성공 요인(Success factors of CSR)들이 책 곳곳에 등장한다. 우선 이 책에서 제시하는 "CSR의 성공"이란, 사회 · 환경적 가치와 비즈니스 가치가 서로 균형을 이루는 것이며 이 균형은 시간이 갈 수록 우상향으로 향하는 것이다. 그리고 CSR과 총체적으로 결합된 기업의 경영활동이 기업과 사회 · 환경 양측 모두의 지속가능성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게 되는 상태가 되는 것을 CSR을 성공적으로 실행한 결과라고 할 수 있다고 서술하고 있다. 다음으로, CSR의 성공 촉진 요인은 무엇일까? 이 책에서는.. 2020. 6. 6.